수학 공식 정리: 헷갈리는 로그 법칙(Log Rules) 총정리 🧠
지수와 함께 등장해 많은 학생을 혼란에 빠뜨리는 로그(Logarithm)! 복잡해 보이는 기호 때문에 지레 겁먹기 쉽지만, 로그의 기본 개념과 몇 가지 핵심 법칙만 이해하면 생각보다 훨씬 간단하게 정복할 수 있습니다. 로그는 매우 큰 수나 작은 수를 다루기 쉽게 만들어주고,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복잡한 곱셈을 덧셈으로 바꿔주는 등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장 중요한 로그 법칙들을 알기 쉽게 총정리해 드립니다!

로그란 무엇인가? (What is a Logarithm?)
로그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지수를 구하기 위한 계산"입니다. 즉, 지수의 역연산이죠.
예를 들어, $2^3 = 8$ 이라는 지수식이 있을 때, 로그는 "2를 몇 번 제곱해야 8이 될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과정입니다. 이 질문을 로그 기호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og_2 8 = 3$$
여기서 2는 밑(base), 8은 진수(argument)라고 부릅니다.
- 기억하세요: $a^x = b \iff \log_a b = x$
이것만 알면 끝! 필수 로그 법칙 📜
복잡한 로그 계산은 모두 아래의 기본 법칙들을 조합하여 이루어집니다. 각 법칙이 어떻게 지수 법칙과 연결되는지 생각하면 이해하기 훨씬 쉽습니다.
1. 로그의 합 (Product Rule)
로그의 덧셈은 진수의 곱셈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지수 법칙에서 $a^m \times a^n = a^{m+n}$ 과 같은 원리입니다.
$$\log_a (xy) = \log_a x + \log_a y$$
- 예시: $\log_2 (8 \times 4) = \log_2 32 = 5$ 이고, $\log_2 8 + \log_2 4 = 3 + 2 = 5$ 로 결과가 같습니다.
2. 로그의 차 (Quotient Rule)
로그의 뺄셈은 진수의 나눗셈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지수 법칙에서 $a^m \div a^n = a^{m-n}$ 과 연결됩니다.
$$\log_a (\frac{x}{y}) = \log_a x - \log_a y$$
- 예시: $\log_3 (\frac{81}{9}) = \log_3 9 = 2$ 이고, $\log_3 81 - \log_3 9 = 4 - 2 = 2$ 로 결과가 같습니다.
3. 로그의 거듭제곱 (Power Rule)
진수의 지수는 로그 앞으로 내려와 곱해질 수 있습니다.
$$\log_a (x^n) = n \log_a x$$
- 예시: $\log_2 (4^3) = \log_2 64 = 6$ 이고, $3 \log_2 4 = 3 \times 2 = 6$ 으로 결과가 같습니다.
알아두면 유용한 추가 공식들 ✨
위의 3가지 핵심 법칙 외에, 계산을 빠르고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추가 공식들이 있습니다.
1. 밑 변환 공식 (Change of Base Formula)
밑이 다른 로그를 계산해야 할 때, 원하는 밑(보통 10 또는 $e$)으로 통일시켜주는 아주 중요한 공식입니다.
$$\log_a b = \frac{\log_c b}{\log_c a}$$
- 예시: 계산기로 $\log_4 64$를 구하고 싶을 때, 밑이 10인 상용로그를 이용해 $\frac{\log_{10} 64}{\log_{10} 4} = \frac{1.806}{0.602} \approx 3$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기본 성질들
- 진수가 1이면 값은 0: $\log_a 1 = 0$ (a를 0번 제곱하면 1)
- 밑과 진수가 같으면 값은 1: $\log_a a = 1$ (a를 1번 제곱하면 a)
- 로그와 지수 관계: $a^{\log_a b} = b$
로그 법칙은 처음에는 낯설지만, 지수 법칙과의 관계를 생각하며 몇 번만 연습해보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이 여러분의 로그 정복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