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0

최초의 수학 교과서는? 고대 그리스의 아테네(Athens)는 소크라테스(BC. 470년경~ BC. 399년), 플라톤(BC. 429~BC. 347), 아리스토텔레스(BC. 384~BC. 322)로 이어지는 지식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들의 이름을 듣고 수학자를 떠올리는 사람들은 드물지만 플라톤이 세운 아카데미아에서는 정치학, 윤리학, 형이상학, 인식론, 논리학 뿐만아니라 수학적인 기초를 마련하는데 큰역할을 한것은 틀림없습니다. 영국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화이트헤드는 "서양의 2000년 철학은 모두 플라톤의 각주에 불과하다."라고 말할 정도로 플라톤이 서양 지식사회에 끼친 영향력을 알 수 있습니다. BC. 300년 무렵 프톨레마이오스 1세가 권력을 잡으면서 정치, 문화, 과학의 중심지는 그리스에서 이집트 지역으로 옮겨갔습.. 2020. 8. 2.
항상 이기는 전략 게임 - 님(Nim)게임 님게임 님(Nim)게임은 두사람이 하는 간단한 두뇌게임으로 중세 유럽의 선술집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현대에는 게임이론의 한 장르로 발전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님게임 예제 규칙입니다. 님게임 전략을 알면 항상이길 수 있습니다. 10개의 구슬이 있습니다. 두사람이 번갈아가며 구슬을 앞에서부터 차례로 가져옵니다. 한번에 1개에서 3개까지 가져올 수 있습니다. 마지막 10번 구슬을 가져오는 사람이 이깁니다. 1. 10개의 구슬을 앞에서부터 1, 2, 3, 4, .... ,9, 10번으로 번호를 붙여 봅시다. 2. 내차례가 되었을 때 7, 8, 9, 10 네개의 구슬이 남았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내가 7번 구슬을 가져가게되면 상대방은 8, 9, 10번 구슬을 가져가게 되어 내가 지게됩니다. 내.. 2020. 7. 30.
[C언어와 함께 자료구조를] 연결리스트로 큐 구현하기 큐 개념 다시 보기 큐는 줄, 대기행렬 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줄서서 먹는 맛집은 온 순서대로 들어가게 되는 것과 같은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큐를 대표하는 말은 선입선출( FIFO : First In First Out)인데요, 거꾸로 생각하면 후입후출(LILO : Last In Last Out)도 틀린 말은 아닌 것 같습니다. 큐의 연산도 딱 두가지 put과 get입니다. 뭐 책에 따라서 enqueue, dequeue라는 말도 쓰이긴 하지만 의미만 통하면 별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put은 큐에 데이터를 넣는것, get은 큐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입니다. 연결리스트로 큐 구현하기 배열을 이용한 큐에서는 큐의 크기가 정해져 있었지만, 연결리스트에서는 그런 제약조건이 없습니다. (이론상 컴이 더.. 2020. 7. 29.
[C언어와 함께 자료구조를] 연결리스트로 스택 구현 스택 개념 다시보기 스택(Stack)은 단어의 뜻에서 의미하듯 쌓아 놓는 구조로 매우 간단합니다. 예를 들면, 책 10권을 차례대로 쌓았다고 하면 책을 치우기 위해서 맨 위에서 부터 차례차례 치워나가는 방식이라고 할까요? 가장 나중에 쌓은 책이 먼저에 치워지니 LIFO(First-In Last-Out)이라고도 하고 가장 먼저 쌓은 책이 나중에 치워지니 FILO(First-In Last-Out)이라고도 부를 수 있겠네요. 스택을 조작하는 연산은 딱 두가지만 기억하자고 했는데. 스택에 집어넣는 연산 push와 스택에서 빼내는 연산 pop입니다. 연결리스트로 스택 구현하기 스택의 구현은 배열을 사용하던 연결리스트(Linked list)를 사용하던 상관없지만, 이전 포스팅에서는 연결리스트를 이용한 스택을 구현해.. 2020. 7. 29.
숫자가 2배씩 증가하면? 1. 쌀 한 톨을 주세요! 옛날 어느 나라의 왕이 신하가 큰 공을 세워 상을 내리려고 했습니다. 신하는 왕이 쌀 100 가마니를 준다는 말을 듣고 다음과 같이 제안했습니다. "전하! 제가 원하는 건 쌀한톨이옵니다. 다만, 매일 전날 받은 것의 2배를 늘려가며 쌀을 100일 동안 받고 싶습니다." 신하는 첫날 쌀한톨, 둘째 날 첫째 날의 2배인 쌀 2톨, 그다음 날 전날의 2배인 쌀 4톨, 그다음 날은 전날의 2배인 쌀 8톨 이런 식으로 늘려가며 100일 동안 받겠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왕이 생각하기에 쌀 한 톨씩 100일 동안 늘려가 봤자 10~20 가마니면 충분하다고 여겨 신하의 어리석음을 비웃었습니다. 왕은 곡물을 관장하는 신하에게 공을 세운 신하의 말대로 수행하라 일렀습니다. 곡물을 관장하는 신하가 .. 2020. 7. 28.
[즐거운 수학퀴즈] 가짜금화와 저울 1. 무게저울 한번쓰고 가짜금화 찾기 금화가 가득 든 자루가 열개가 있습니다. 이 가운데 한 자루는 가짜 금화인 9g짜리로 차있고 나머지는 진짜 금화인 10g짜리 입니다. 무게 저울을 꼭 한번만 사용해서 가짜 금화 자루를 찾을 수 있을까요? 풀이는 더보기를 누르세요. 더보기 이 문제는 옛날 미국드라마 "형사콜롬보"에도 나온 문제입니다. 그리고 일본만화 "소년탐정 김전일"에도 등장합니다. 각 자루를 순서대로 놓고 금화를 각각 1개, 2개, 3개, .... 10개씩 꺼내어 무게를 달았을 때, 만약 모두 진짜 금화라면 550g이지만 가짜 금화가 있기때문에 550g이 나오지 않습니다. 가짜가 진짜보다 1g이 가볍기 때문에 550g에서 부족한 g수 만큼의 순서의 자루가 가짜금화입니다. 예를 들어 첫번째 자루가 가.. 2020. 7. 28.